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환경보건학개론」

by 모닝레인 2025. 4. 24.

2. 환경보건의 역사

학습개요

본 강의에서는 외국 및 우리나라의 환경보건 역사에 대해 알아본다. 환경보건은 물리, 화학, 생물 등의 기초과학은 물론 의학 및 보건학 등의 실용적인 학문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역사적 발전과 궤를 같이하면서 발달해 왔다. 따라서 환경보건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환경보건과 관련된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목표

장기설의 의미와 환경보건의 발전에 기여한 바를 설명할 수 있다.

서양의 각 시대별 환경보건의 발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환경보건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정리하기

환경보건의 역사는 생물학, 물리학, 화학을 비롯하여 의학, 보건학 등 많은 학문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며 발달해 왔다. 또한, 현재 각국의 환경보건과 관련된 제도는 사회, 경제, 정치 등을 포함한 역사 발전과정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 시대에 환경이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개념이 생겨났으며, 모든 질병은 나쁜 공기에 의해 전파·전염된다는 장기설(瘴氣設, miasma theory)이 근대까지 주요한 믿음으로 전해져 왔다.

 

환경보건은 근대 이후 미생물 병인설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며, 현대에 들어 대규모의 환경오염 사건이 발생하면서 환경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국제적인 공동 노력을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체계적인 접근이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환경보건은 구한말 이후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며, 현재 넓은 의미의 환경보건 업무는 환경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부 등 다양한 부처에서 수행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00년대 들어 환경보건정책실을 신설하고 환경보건종합계획을 세우며, 환경보건법을 제정하여 수행하는 등 큰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경선 외. 환경위생학. 문운당. 2009.

고전연구실. 비평 삼국사기 상. 신서원. 1997.

권수열·박동욱·박지호·윤병준·이경무·정영일·한선기. 환경재난 사례로 배우는 환경보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손부순 외. 환경보건학. 동화기술. 2010.

환경부. 환경보건 10개년 종합계획. 2006.

환경부. 환경보건종합계획(2011~2022). 2011.

 

연습문제

Q1.환경보건의 역사에서 중세시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항구검역제도

2.공중목욕탕

3.접촉전염설

4.위생학 실험실

 

Q2.근세 및 근대의 환경보건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최초로 장기설이 생겨났다.

2.산업위생의 기초가 다져졌다.

3.오늘날의 공중보건제도 및 보건행정제도의 틀이 제시되었다.

4.미생물 병인설 또는 접촉전염설이 확립되었다.

 

 

Q3.지문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넓은 의미의 환경보건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을 모두 고르면?

지문

. 환경부 ㄴ. 보건복지부 ㄷ. 노동부 ㄹ. 식약처 ㅁ. 과학기술부

1.

2., ,

3., , ,

4., , , ,